SC 바스티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C 바스티아는 1905년 스위스 출신 한스 루에슈에 의해 창단된 프랑스의 축구 클럽이다. 1968년 프랑스 2부 리그 우승으로 1부 리그에 진출했으며, 1978년 UEFA컵 결승, 1981년 쿠프 드 프랑스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1992년 푸리아니 참사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며, 2017년 재정 문제로 인해 프랑스 전국 선수권 3(5부 리그)까지 강등되었으나, 3시즌 연속 승격으로 리그 2까지 복귀했다. SC 바스티아는 코르시카 민족주의와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코르시카 독립을 지지하는 팬들이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트코르스주 - 칼비 (프랑스)
칼비는 프랑스 코르시카 섬 북서부 해안에 위치한 코뮌으로, 제노바 공화국에 충성을 맹세한 역사적 도시이며, 관광 산업과 프랑스 외인부대 주둔으로 경제가 활성화되어 있고, 역사적 건축물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 편리한 교통을 자랑한다. - 코르시카의 축구단 - AC 아작시오
AC 아작시오는 프랑스 코르시카 섬 아작시오를 연고로 하는 1910년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코르시카 챔피언십 8회 우승, SC 바스티아와 오랜 라이벌 관계, 프랑스 최고 리그 최초 진출 등의 역사를 가지며 곰을 상징으로 한다. - 코르시카의 축구단 - 가젤레크 아작시오
가젤레크 아작시오는 1960년 창단된 프랑스의 축구 클럽으로, 쿠프 드 프랑스 준결승 진출 및 리그 1 승격 경험이 있으나 재정 문제로 5부 리그까지 강등되었다가 2023-24 시즌 레지오날 1으로 승격되었다. - 리그 2 구단 - FC 지롱댕 드 보르도
FC 지롱댕 드 보르도는 1881년에 창단된 프랑스의 축구 클럽으로, 리그 1과 쿠프 드 프랑스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명문 구단으로 자리 잡았으나, 2024년 재정 문제로 샹피오나 나시오날 2로 강등되었다. - 리그 2 구단 - AC 아작시오
AC 아작시오는 프랑스 코르시카 섬 아작시오를 연고로 하는 1910년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코르시카 챔피언십 8회 우승, SC 바스티아와 오랜 라이벌 관계, 프랑스 최고 리그 최초 진출 등의 역사를 가지며 곰을 상징으로 한다.
SC 바스티아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스포르팅 클뢰브 바스티에 |
원어 명칭 | Sporting Club Bastiais (코르시카어: Sporting Club di Bastia) |
별칭 | 이 투르키니 (I Turchini, 코르시카어로 "청색"을 의미) 레 블루 (Les Bleus, 프랑스어로 "청색"을 의미) 이 리오니 디 푸리아니 (I Lioni di Furiani, 푸리아니의 사자) |
약칭 | SCB |
창단 | 1905년 |
홈 구장 | 스타드 아르망-체사리 |
수용 인원 | 16,048명 |
회장 | 클로드 페란디 |
감독 | 브누아 타브노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 |
경기장 정보 | |
위치 | 푸리아니 |
소속 리그 | |
현재 리그 | 리그 2 (프랑스 프로 축구 리그) |
2024-2025 시즌 | 2024-25 시즌 |
지난 시즌 순위 | 13위 (2023-24 시즌) |
클럽 색상 | |
색상 | 파란색, 하얀색 |
2. 역사
SC 바스티아는 1961년 프랑스컵에서 우승하며 주요 타이틀을 획득했다. 1978년에는 UEFA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PSV 에인트호번에 패했다. 1981년에는 AS 생테티엔을 꺾고 다시 프랑스컵에서 우승했다. AC 아작시오와는 "코르시카 더비"라고 불리는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1992년 5월 5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와의 프랑스컵 준결승전을 앞두고 급조된 임시 스탠드가 붕괴되는 푸리아니 참사가 발생하여 18명이 사망하고 2,30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49]
2005년 모회사의 파산으로 리그 2로 강등되었고, 2010년에는 프랑스 전국 선수권으로 강등되었다. 그러나 이후 전국 선수권과 리그 2에서 연이어 우승하며 2년 만에 리그 1으로 복귀했다.
2014-15 시즌에는 클로드 마켈레레 감독이 부임했으나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었다.[50]
2016-17 시즌 최하위로 리그 2로 강등된 후, 재정 문제로 인해 DNCG(프랑스 축구 경영 관리 총국)는 바스티아를 프랑스 전국 선수권으로 강등시켰다. 2017년 8월에는 추가적인 재정 문제로 프랑스 전국 선수권 3으로 강등되었다.[51][52]
5부 리그에서 시작했지만, 바스티아 출신 와흐비 하즈리의 자금 지원[53] 등에 힘입어 3시즌 연속 승격을 달성했다.
2. 1. 창단과 초창기 (1905년 ~ 1965년)

'''스포르팅 클럽 드 바스티아'''(Sporting Club de Bastia, SC 바스티아)는 1905년 스위스 출신 '''한스 루에슈'''(Hans Ruesch)에 의해 창단되었다. 그는 바스티아의 고등학교에서 독일어를 가르쳤다. 바스티아의 초대 회장은 에밀 브란디지(Emile Brandizi)였다. 코르시카 클럽은 바스티아의 플라스 다르메(Place d'Armes)에서 단 하나의 가스 버너 불빛 아래에서 창단식을 거행했다.[5]
클럽은 1965년 2부 리그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3시즌의 성공적인 활약 이후, 1968년 프랑스 2부 리그 챔피언에 등극하며 엘리트 리그에 합류했다. 첫 시즌은 어려웠지만, 클럽은 자리를 지켰다. 이렇게 클럽 역사상 최고의 10년이 시작되었다. 1972년, 클럽은 쿠프 드 프랑스 결승전에 처음으로 진출하여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Olympique de Marseille)를 상대로 2-1로 패했지만,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에 처음으로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강력한 팀에 의해 탈락했다.
2. 2. 프로 리그 진출과 전성기 (1965년 ~ 1986년)
SC 바스티아는 1965년 2부 리그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3시즌 동안 성공적인 활약을 펼친 후, 1968년 프랑스 2부 리그 챔피언에 오르며 엘리트 리그에 합류했다. 첫 시즌은 어려웠지만 클럽은 자리를 지켰고, 이후 10년간 클럽 역사상 최고의 시기를 맞이했다. 1972년에는 쿠프 드 프랑스 결승전에 처음으로 진출하여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게 2-1로 패했지만,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에 처음으로 진출하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게 패하며 탈락했다.[5]1977년, 바스티아는 리그 최고의 공격력을 선보이며 디비전 1에서 3위를 기록했고, 드라간 자이치를 왼쪽 윙어로 기용하며 UEFA컵에 진출했다. 이 시기 팀은 플레이메이커 클로드 파피를 중심으로 네덜란드 출신 조니 레프, 프랑스 국가대표 미드필더 장-프랑수아 라리오스, ''"베스코바토의 사자"''라는 별명을 가진 리베로 샤를 오를란두치와 같은 재능 있는 선수들로 구성되었다.

이 팀은 스포르팅 리스본, 뉴캐슬 유나이티드, 토리노, 카를 자이스 예나, 그라스호퍼 취리히를 차례로 꺾고 결승전에서 PSV 에인트호벤에게 패했다(0-0, 0-3). 특히 토리노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둔 경기는 ''"토로"''가 홈 경기장에서 2시즌 동안 무패를 기록하고 있었기에 더욱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이 경기에서 장-프랑수아 라리오스는 22미터 거리에서 발리슛으로 골을 기록했다.
결승전은 불운으로 끝났다. 1차전은 푸리아니에서 열렸는데, 1978년 4월 26일 코르시카에 폭우가 쏟아져 경기장 상태가 좋지 않았다. 유고슬라비아 심판은 몇 주 뒤에 예정된 아르헨티나 월드컵을 앞두고 경기를 연기했다. 바스티아가 우세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5월 9일에 열린 2차전에서는 PSV 에인트호벤이 24분 만에 첫 골을 넣고 후반 막바지에 2골을 더 추가하며 3-0으로 승리했다. 바스티아의 패배 원인으로는 리그에서의 피로 누적(결승 2차전 며칠 전에 6일 동안 3경기를 치름)과 1차전 푸리아니에서의 빗물에 젖은 경기장 상태가 꼽혔다.
바스티아는 이후 코르시카 스포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순간을 맞이했다. 4만 명의 인구밖에 되지 않는 도시에서 온 ECBC 클럽은 유럽 축구의 주요 강호들에게 도전했을 뿐만 아니라, 민족주의 운동이 태동하던 시기인 1975년 바스티아 사건 3년 후 코르시카 전체가 하나가 되도록 했다.
결승전 3년 후, 바스티아는 1980-81 쿠프 드 프랑스에서 첫 번째 트로피를 획득했다. 이는 미셸 플라티니의 생테티엔을 상대로 거둔 승리였다. 결승전은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46,000명 이상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열렸고, 새로 선출된 프랑스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도 참석했다.[5]
2. 3. 푸리아니 참사와 시련 (1986년 ~ 2010년)
SC 바스티아는 1985-86 시즌에 2부 리그로 강등된 후 8년 동안 2부 리그에 머물렀다. 이 시기는 아르망 세사리 스타디움에서 발생한 푸리아니 참사로 특징지어진다.[8] 1991-92 시즌 쿠프 드 프랑스 준결승전에서 당시 프랑스 챔피언이었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를 상대하게 되었는데, 이 경기에 대한 열기가 고조되면서 10,000석 규모의 임시 관람석이 급하게 건설되었다. 그러나 킥오프 몇 분 전, 이 관람석 상단 부분이 붕괴되면서 18명이 사망하고 2,300명이 부상당하는 참사가 발생했다.[8],[49]2. 4. 재건과 부활 (2010년 ~ 현재)
프레데릭 안토네티는 1994년부터 2001년까지( 1998-99 시즌 제외) SC 바스티아의 1군을 지도하며 루보미르 모라브치크, 피에르-이브 앙드레, 프레데릭 네, 프랑크 주리에티, 안토 드로브냑 등을 영입했다. 특히 드로브냑은 세 번째 시즌에 클럽 최고 득점자가 되었고, 1995-96 시즌에는 20골로 소니 앤더슨에 이어 득점 2위를 기록했다.[9]1996-97 시즌 리그 1에서 7위를 기록하며 인터토토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인터토토컵에서 우승하여 1997-98 시즌 UEFA 컵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바스티아는 32강전에서 SL 벤피카를 꺾었으나, 다음 라운드에서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에 패했다.[10] 이후 1998년과 2001년에 다시 인터토토컵에 출전했지만, UEFA 컵 출전권을 얻는 데는 실패했다.
2001년 안토네티 감독이 떠난 후, 바스티아는 상위 10위 안에 들지 못했다. 2001-02 시즌 쿠프 드 프랑스 결승에 진출했다. 당시 미드필더에는 마이클 에시엔이 있었고,[11] 수비수 알렉스 송도 바스티아에서 성장한 선수였다.[12]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여러 감독들이 팀을 이끌었지만, 순위는 계속 하락했다. 2004-05 시즌 크리스티앙 카랑뵈를 영입했음에도 불구하고 리그 2로 강등되었다.
2010년 프랑스 전국 선수권(3부 리그)으로 강등되었으나, 다음 해 전국 선수권에서 우승하며 1년 만에 복귀했다. 2012년 리그 2에서 우승하며 2년 만에 리그 1으로 복귀했다.
2014-15 시즌 클로드 마켈레레가 지휘했지만, 성적 부진으로 11월에 해임되었다.[50]
2016-17 시즌 최하위로 리그 2로 강등되었고, 2017년 6월 22일 DNCG(프랑스 축구 경영 관리 총국)는 재정 문제로 바스티아를 프랑스 전국 선수권으로 강등시켰다. 2017년 8월, 추가적인 재정 문제로 프랑스 전국 선수권 3으로 강등되었다.[51][52]
5부 리그 첫 해에는 2위를 기록하며 승격을 놓쳤지만, 다음 해 여름 바스티아 출신 와흐비 하즈리의 자금 지원[53]을 받아 3시즌 연속 선두로 승격했다.
3. 코르시카 민족주의와의 연관성
SC 바스티아는 코르시카인들 사이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들은 코르시카어, 상징을 자주 사용하고 코르시카 독립을 지지하는 등 코르시카 민족주의적인 요소를 보인다.[40][41][42] 팬들은 코르시카어로 "푸른색"을 의미하는 ''튀르키니''(Turchini)로 알려져 있다.
바스티아 팬들은 대부분의 본토 지지자들과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가장 치열한 라이벌은 니스이며, 이들과 지중해 더비(Derby de la Mediterranée)를 치른다. 이 더비는 마르세유 및 모나코와의 라이벌 관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파리와 코르시카 사이의 정치적 긴장으로 인해 PSG와도 라이벌 관계에 있다.[43]
주요 라이벌로는 같은 섬에 있는 AC 아작시오와의 코르스 더비(Derby Corse)가 있으며, 정도는 덜하지만 가젤레 아작시오와도 섬의 지배권을 놓고 경쟁한다.[44][45]
3. 1. 코르시카 독립 운동과 SC 바스티아
코르시카 섬은 1700년대 코르시카 독립 전쟁에서 볼 수 있듯이, 예전부터 독립과 자치권 확대를 강하게 요구해 왔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코르시카에서 태어나기 3개월 전에 프랑스령이 되었지만, 섬은 그 이전 기원전부터 여러 세력에 의해 식민지로 취급받아 온 역사가 있다.[54]이러한 독립 지향은 코르시카를 거점으로 활동하는 SC 바스티아의 서포터들에게도 반영되어, 클럽 공식 사이트는 주로 프랑스어로 안내되지만, 일부 서포터들은 코르시카어로 안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55]
인구가 적은 코르시카의 클럽이 프랑스 주요 타이틀을 획득할 기회는 제한적이다. 그래서 클럽이 주목받는 활약을 보이면 서포터들은 프랑스 전체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곤 한다. 특히, 파리 FC나 파리 생제르맹 FC 등 프랑스 수도 파리를 거점으로 하는 클럽과 경기할 때 이러한 항의가 더욱 활발해진다.[56] 1994-95 시즌 쿠프 드 라 리그 결승에서 파리 생제르맹과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경기했을 때, 바스티아는 타이틀 획득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베스트 멤버로 임하지 않겠다고 항의했다.[57]
2002년 쿠프 드 프랑스 결승에서 FC 로리앙과의 경기 전에는 라 마르세예즈 제창 중 2만 명 이상의 코르시카 독립파가 끊임없이 야유를 보냈다. 이 야유는 프랑스 대통령 선거를 마치고 관전 온 자크 시라크 대통령이 격노하여 경기 시작을 기다리지 않고 돌아갈 정도였다.
2014년 OGC 니스와의 경기에서 바스티아가 승리하자, 바스티아의 후보 골키퍼 Jean-Louis Leca|장-루이 레카영어가 코르시카 국기를 흔들며 승리를 축하했다. 이를 본 니스 서포터들이 피치에 난입하여 충돌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기 전, 바스티아와 관련된 색깔이나 상징을 휘두르는 것은 도발적인 행위가 될 수 있어 폭력 사건의 위험을 높인다는 이유로 지역 당국에 의해 금지되어 있었다. 하지만 클럽은 레카가 단순히 코르시카인 선수가 중요한 승리를 축하했을 뿐이라고 옹호했다.
이후에도 경기 오프닝 세레머니에서 코르시카 국기를 포함한 지방 깃발 게양 금지령에 대해 SC 바스티아와 지역 라이벌 AC 아작시오의 일부 서포터들은 거부했고, 일부 독립 운동가들은 이러한 규제 실시가 코르시카인에 대한 인종 차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55]
이처럼 오랫동안 식민지화되어 온 코르시카 사람들에게 SC 바스티아는 단순한 축구 클럽 이상의 존재이며, 코르시카의 민족주의와 지역 정체성에 깊이 연결되어 있다. 클럽의 활동과 성공은 코르시카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3. 2. 클럽 엠블럼과 무어인의 머리
SC 바스티아의 엠블럼에는 "무어인의 머리"라고 불리는 상징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약 9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1096년, 페드로 1세의 아라곤 군은 사라고사 군 등 연합군과의 전투에서 패배 위기에 처했으나, 성 게오르기우스의 도움으로 4명의 무어인 지휘관의 목을 베어 승리했다. 이후 우에스카를 점령한 페드로 1세는 아라곤 왕국의 문장에 4명의 무어인의 머리를 그렸다.
당시 코르시카 섬을 포함한 지중해 일대를 지배했던 페드로 1세는 군사적 요충지였던 코르시카 섬에 무어인의 머리 상징을 부여했다. 이 상징은 파스칼 파올리의 코르시카 독립 전쟁을 거쳐 코르시카 공화국이 성립된 18세기 중반까지 이어졌다. 독립 전 국기에는 눈을 가린 무어인의 머리가 그려져 있었지만, 파올리는 "코르시카인들은 분명히 보고 싶어한다. 자유는 철학의 횃불에 의해 걸어가야 한다"고 말하며 천을 이마 위로 올리도록 명령했다.
엠블럼에 있는 무어인의 머리는 과거 코르시카 사람들이 겪었던 지배와 해방의 역사를 상징하며, 코르시카인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나타낸다. SC 바스티아를 비롯한 코르시카 섬의 클럽팀들(AC 아작시오, Gazelec Ajaccio)은 코르시카의 역사를 상징하는 이 엠블럼을 사용하고 있다.[58]
4. 경기장
스타드 아르망 세사리(Stade Armand Cesari)는 스타드 푸리아니(Stade Furiani)라고도 불리며, 푸리아니에 위치한 코르시카의 주요 축구 경기장으로 SC 바스티아가 사용한다.
1992년, 이 경기장은 쿠프 드 프랑스 준결승전을 개최했는데, 이 때 임시 관람석이 붕괴되어 18명이 사망하고 약 3,000명이 부상당했다.[37]
완전히 낡고 위험하기까지 한(경기장 주변에 철조망, 낡은 관람석) 이 경기장은 1978년 UEFA컵 결승전을 개최했다. 당시 경기장의 수용 인원은 12,000석 미만이었으며, 불안정한 상태였다. 그날 코르시카에 폭우가 쏟아져 경기장이 진흙탕으로 변했고, 이 결정적인 경기의 결과(0–0)에 지장을 주었다.[37] 발표된 15,000명의 관중은 과장된 것으로 보이지만, 경기에 참석하기 위해 빽빽하게 서서 열정적으로 경기를 관람했다.
경기장의 최고 관중 기록은 2012년 9월 1일에 세워졌으며, 15,505명이 바스티아가 생테티엔에게 패하는 경기를 관람했다(0–3).[37][38] 그 뒤 1978년에는 15,000명이 PSV 에인트호번과의 UEFA컵 결승전에서 바스티아가 무승부를 기록하는 경기를 관람했다(0–0, 1978).[37]
5. 라이벌 관계
SC 바스티아는 코르시카인들 사이에서 많은 수의 지지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코르시카어, 상징의 빈번한 사용과 코르시카 독립에 대한 지지와 같은 코르시카 민족주의적 요소를 자주 드러낸다.[40][41][42] 팬들은 코르시카어로 "푸른색"을 의미하는 ''튀르키니''(Turchini)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본토 지지자들과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가장 치열한 라이벌은 니스로, 이들과 지중해 더비(Derby de la Mediterranée)를 치른다. 이 더비는 마르세유 및 모나코와의 라이벌 관계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파리와 코르시카 사이의 정치적 긴장으로 인해 PSG와도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있다.[43]
또 다른 주요 라이벌은 같은 섬에 있는 AC 아작시오와의 코르스 더비(Derby Corse)이며, 정도는 덜하지만 가젤레 아작시오와도 섬의 지배권을 놓고 경쟁 관계를 맺고 있다.[44][45]
6. 역대 성적
SC 바스티아는 프랑스와 유럽 대회에서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다음은 시즌별 상세 성적이다.
시즌 | 리그전 | 쿠프 드 프랑스 | 리그컵 | ||||||||||||||
---|---|---|---|---|---|---|---|---|---|---|---|---|---|---|---|---|---|
디비전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965-66 | 디비지옹 2 | 4위 | 45 | 36 | 18 | 9 | 9 | 60 | 46 | +16 | 32강 | ||||||
1966-67 | 3위 | 44 | 34 | 19 | 6 | 9 | 48 | 34 | +14 | 8강 | |||||||
1967-68 | 1위 | 50 | 34 | 21 | 8 | 5 | 53 | 22 | +31 | 64강 | |||||||
1968-69 | 디비지옹 1 | 6위 | 34 | 34 | 13 | 8 | 13 | 50 | 66 | -16 | 64강 | ||||||
1969-70 | 17위 | 24 | 34 | 10 | 4 | 20 | 50 | 74 | -24 | 16강 | |||||||
1970-71 | 17위 | 32 | 38 | 12 | 8 | 18 | 52 | 83 | -31 | 64강 | |||||||
1971-72 | 9위 | 42 | 38 | 20 | 2 | 16 | 58 | 57 | +1 | 준우승 | |||||||
1972-73 | 9위 | 38 | 38 | 15 | 8 | 15 | 59 | 41 | +18 | 32강 | |||||||
1973-74 | 15위 | 41 | 38 | 14 | 8 | 16 | 44 | 49 | -5 | 8강 | |||||||
1974-75 | 6위 | 45 | 38 | 15 | 11 | 12 | 54 | 47 | +7 | 4강 | |||||||
1975-76 | 8위 | 45 | 38 | 14 | 13 | 11 | 59 | 53 | +6 | 8강 | |||||||
1976-77 | 3위 | 47 | 38 | 20 | 7 | 11 | 82 | 53 | +29 | 64강 | |||||||
1977-78 | 5위 | 44 | 38 | 19 | 6 | 13 | 62 | 44 | +18 | 8강 | |||||||
1978-79 | 14위 | 35 | 38 | 13 | 9 | 16 | 53 | 65 | -12 | 16강 | |||||||
1979-80 | 16위 | 32 | 38 | 14 | 4 | 20 | 39 | 51 | -12 | 64강 | |||||||
1980-81 | 12위 | 35 | 38 | 13 | 9 | 16 | 50 | 55 | -5 | 우승 | |||||||
1981-82 | 12위 | 35 | 38 | 12 | 11 | 15 | 43 | 65 | -22 | 4강 | 1회전 탈락 | ||||||
1982-83 | 17위 | 32 | 38 | 9 | 14 | 15 | 41 | 52 | -11 | 32강 | |||||||
1983-84 | 10위 | 36 | 38 | 14 | 8 | 16 | 36 | 43 | -7 | 32강 | 2회전 탈락 | ||||||
1984-85 | 14위 | 32 | 38 | 11 | 10 | 17 | 39 | 68 | -29 | 16강 | |||||||
1985-86 | 20위 | 20 | 38 | 5 | 10 | 23 | 30 | 79 | -49 | 32강 | 2회전 탈락 | ||||||
1986-87 | 디비지옹 2 | 5위 | 41 | 34 | 17 | 7 | 10 | 62 | 50 | +12 | 32강 | ||||||
1987-88 | 8위 | 33 | 34 | 15 | 3 | 16 | 41 | 52 | -11 | 32강 | |||||||
1988-89 | 5위 | 51 | 34 | 14 | 9 | 11 | 46 | 44 | +2 | 7회전 탈락 | |||||||
1989-90 | 6위 | 39 | 34 | 14 | 11 | 9 | 46 | 38 | +8 | 64강 | |||||||
1990-91 | 6위 | 35 | 34 | 12 | 11 | 11 | 46 | 35 | +11 | 64강 | 16강 | ||||||
1991-92 | 4위 | 39 | 34 | 12 | 11 | 11 | 56 | 46 | +10 | 4강 | 1회전 탈락 | ||||||
1992-93 | 7위 | 37 | 34 | 11 | 15 | 8 | 52 | 39 | +13 | 7회전 탈락 | |||||||
1993-94 | 3위 | 53 | 42 | 21 | 11 | 10 | 44 | 29 | +15 | 32강 | 1회전 탈락 | ||||||
1994-95 | 디비지옹 1 | 15위 | 44 | 38 | 11 | 11 | 16 | 44 | 56 | -12 | 16강 | 준우승 | |||||
1995-96 | 15위 | 44 | 38 | 12 | 8 | 18 | 45 | 55 | -10 | 64강 | 32강 | ||||||
1996-97 | 7위 | 61 | 38 | 17 | 10 | 11 | 54 | 47 | +7 | 32강 | 32강 | ||||||
1997-98 | 9위 | 50 | 34 | 13 | 11 | 10 | 36 | 31 | +5 | 32강 | 32강 | ||||||
1998-99 | 13위 | 38 | 34 | 10 | 8 | 16 | 37 | 46 | -9 | 64강 | 32강 | ||||||
1999-2000 | 10위 | 45 | 34 | 11 | 12 | 11 | 43 | 39 | +4 | 64강 | 4강 | ||||||
2000-01 | 8위 | 45 | 34 | 13 | 6 | 15 | 45 | 41 | +4 | 16강 | 16강 | ||||||
2001-02 | 11위 | 41 | 34 | 12 | 5 | 17 | 38 | 44 | -6 | 준우승 | 8강 | ||||||
2002-03 | 리그 1 | 12위 | 47 | 38 | 12 | 11 | 15 | 40 | 48 | -8 | 64강 | 32강 | |||||
2003-04 | 17위 | 39 | 38 | 9 | 12 | 17 | 33 | 49 | -16 | 64강 | 16강 | ||||||
2004-05 | 19위 | 41 | 38 | 11 | 8 | 19 | 32 | 48 | -16 | 64강 | 16강 | ||||||
2005-06 | 리그 2 | 6위 | 58 | 38 | 16 | 10 | 12 | 47 | 40 | +7 | 16강 | 1회전 탈락 | |||||
2006-07 | 9위 | 53 | 38 | 14 | 11 | 13 | 52 | 49 | +3 | 64강 | 2회전 탈락 | ||||||
2007-08 | 11위 | 49 | 38 | 14 | 9 | 15 | 45 | 46 | -1 | 16강 | 2회전 탈락 | ||||||
2008-09 | 11위 | 48 | 38 | 13 | 9 | 16 | 38 | 47 | -9 | 8회전 탈락 | 32강 | ||||||
2009-10 | 20위 | 39 | 38 | 10 | 9 | 19 | 40 | 48 | -8 | 7회전 탈락 | 1회전 탈락 | ||||||
2010-11 | 프랑스 전국 선수권 | 1위 | 91 | 40 | 27 | 10 | 3 | 81 | 24 | +57 | 7회전 탈락 | 16강 | |||||
2011-12 | 리그 2 | 1위 | 71 | 38 | 21 | 8 | 9 | 61 | 36 | +25 | 16강 | 1회전 탈락 | |||||
2012-13 | 리그 1 | 12위 | 47 | 38 | 13 | 8 | 17 | 50 | 66 | -16 | 32강 | 8강 | |||||
2013-14 | 10위 | 46 | 38 | 12 | 10 | 16 | 42 | 58 | -16 | 32강 | 16강 | ||||||
2014-15 | 12위 | 47 | 38 | 12 | 11 | 15 | 37 | 46 | -9 | 32강 | 준우승 | ||||||
2015-16 | 10위 | 50 | 38 | 14 | 8 | 16 | 36 | 42 | −6 | 32강 | 3회전 탈락 | ||||||
2016-17 | 20위[59] | 34 | 38 | 8 | 10 | 20 | 29 | 54 | -25 | 32강 | 16강 | ||||||
2017-18 | 프랑스 전국 선수권 3 | 2위 | 53 | 26 | 15 | 8 | 3 | 46 | 18 | +28 | 3회전 탈락 | ||||||
2018-19 | 1위 | 61 | 24 | 19 | 4 | 1 | 62 | 9 | +53 | 16강 | |||||||
2019-20 | 프랑스 전국 선수권 2 | 1위 | 53 | 21 | 17 | 2 | 2 | 37 | 15 | +22 | 5회전 탈락 | ||||||
2020-21 | 프랑스 전국 선수권 | 1위 | 66 | 34 | 19 | 9 | 6 | 57 | 28 | +29 | 5회전 탈락 | 대회 폐지 | |||||
2021-22 | 리그 2 | 12위 | 46 | 38 | 10 | 16 | 12 | 38 | 36 | +2 | 8강 | ||||||
2022-23 | 4위 | 60 | 38 | 17 | 9 | 12 | 52 | 45 | +7 | 32강 | |||||||
2023-24 | 13위 | 50[60] | 38 | 14 | 9 | 15 | 44 | 48 | -4 | 7회전 탈락 | |||||||
2024-25 | 위 | 38 |
1977-78 시즌, 바스티아는 드라간 자이치를 중심으로 클로드 파피, 조니 레프, 장-프랑수아 라리오스, 샤를 오를란두치 등의 선수들을 앞세워 UEFA컵 결승에 진출했다. 비록 결승전에서 PSV 에인트호번에 패했지만, 토리노와의 8강전에서 3-2 승리를 거두는 등 인상적인 경기를 펼쳤다.[10] 1978년 UEFA컵 결승전은 불운했는데, 1차전은 푸리아니에서 폭우로 경기장 상태가 좋지 않아 0-0 무승부로 끝났고, 2차전에서는 PSV 에인트호번에 3-0으로 패했다.[10]
1980-81 시즌에는 쿠프 드 프랑스 결승에서 미셸 플라티니의 AS 생테티엔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는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46,000명 이상의 관중과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열렸다.[8]
1992년 쿠프 드 프랑스 준결승전에서는 푸리아니 참사가 발생했다.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와의 경기를 앞두고 임시 관람석이 붕괴되어 18명이 사망하고 2,30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49]
이후 바스티아는 알렉스 송, 마이클 에시엔 등 유망주들을 배출했다. 2005년 리그 2로 강등되었고, 2010년에는 샹피오나 나시오날로 강등되었으나, 2010-11 시즌과 2011-12 시즌 연속 우승으로 2년 만에 리그 1으로 복귀했다.
6. 1. 프랑스 국내 대회
대회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준우승 시즌 |
---|---|---|---|---|
리그 2 | 2 | 1967-68, 2011-12 | ||
샹피오나 나시오날 | 2 | 2010-11, 2020-21 | ||
쿠프 드 프랑스 | 1 | 2 | 1980-81 | 1971-72, 2001-02 |
쿠프 드 라 리그 | 2 | 1994-95, 2014-15 | ||
트로페 데 샹피옹 | 1 | 1972 |
SC 바스티아는 리그 2에서 2회(1967-68, 2011-12), 샹피오나 나시오날에서 2회(2010-11, 2020-21) 우승했다. 쿠프 드 프랑스에서는 1980-81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으며, 1971-72 시즌과 2001-02 시즌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쿠프 드 라 리그에서는 1994-95 시즌과 2014-15 시즌에 준우승했고, 트로페 데 샹피옹에서는 1972년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1981년 쿠프 드 프랑스 결승전에서 바스티아는 미셸 플라티니가 이끄는 AS 생테티엔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는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46,000명 이상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열렸으며,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도 참석했다.[8]
2005년, 클럽은 리그 2로 강등되었고, 2010년에는 샹피오나 나시오날로 강등되었다.[13] 그러나 2010-11 시즌 샹피오나 나시오날에서 우승하며 1년 만에 리그 2로 복귀했고, 2011-12 시즌에는 리그 2에서 우승하며 2년 만에 리그 1으로 승격했다.
6. 2. 유럽 대회
- '''UEFA컵'''
- * 준우승: 1977-78
- '''UEFA 인터토토컵'''
- * '''우승:''' 1997
1978년, SC 바스티아는 UEFA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PSV 에인트호번에 패했다.[49]
7. 선수
SC 바스티아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프레데릭 안토네티 감독의 지휘 아래 여러 유망주를 발굴하고 영입하며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94-95 시즌에는 엘리트 리그로 복귀했고, 리그컵 결승에 진출하기도 했다. 루보미르 모라브치크, 피에르-이브 앙드레, 프레데릭 네, 안토 드로브냑 등이 이 시기에 활약한 대표적인 선수들이다. 특히 드로브냑은 1995-96 시즌에 20골을 기록하며 리그 득점 2위에 오르기도 했다.[9]
1996-97 시즌에는 리그 7위를 기록하며 인터토토컵 출전 자격을 얻었고, 1997년 인터토토컵에서 우승하여 UEFA 컵에 진출하기도 했다. 비록 32강에서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에게 패했지만, 바스티아는 두 경기 모두에서 우위를 점하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10] 이후에도 바스티아는 1998년과 2001년에 인터토토컵에 출전했지만, UEFA 컵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1년 안토네티 감독이 떠난 후, 바스티아는 2001-02 시즌 쿠프 드 프랑스 결승에 진출했다. 이 당시 마이클 에시엔이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11] 알렉스 송과 같은 유망주도 배출했다.[12] 그러나 2004-05 시즌에는 리그 최하위로 강등되었고, 이후 몇 년간 하부 리그를 전전하기도 했다.
2010년에는 재정 문제로 인해 아마추어 리그로 강등될 위기에 처했으나, 프랑스 축구 연맹의 결정으로 샹피오나 나시오날에 참가할 수 있었다.[14][15] 이후 바스티아는 제롬 로텐, 토이필루 마울리다, 플로리앙 토뱅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고, 2011-12 시즌 리그 2에서 우승하며 리그 1으로 복귀했다.[23]
SC 바스티아 역대 최다 출장 선수와 최다 득점 선수는 다음과 같다.
순위 | 이름 | 총 출장 경기 | D1/L1에서의 총 출장 경기 |
---|---|---|---|
1. | 샤를 오를란두치 | 507 | 410 |
2. | 클로드 파피 | 479 | 382 |
3. | 폴 마르키오니 | 332 | 227 |
4. | 피에르-이브 앙드레 | 330 | 134 |
5. | 장-루이 카제스 | 329 | 276 |
6. | 야니크 카후자크 | 324 | 121 |
7. | 몰레 수마 | 276 | 211 |
8. | 조르주 프랑체스케티 | 276 | 236 |
9. | 시메이 이일리 | 255 | 219 |
10. | 앙드레 부르카르 | 250 | 217 |
순위 | 선수 | 총 골 | D1/L1에서의 총 골 |
---|---|---|---|
1. | 클로드 파피 | 134 | 110 |
2. | 피에르-이브 앙드레 | 102 | 84 |
3. | 프랑수아 펠릭스 | 78 | 63 |
4. | 마크-카얀 카스 | 59 | 53 |
5. | 자크 지마코 | 57 | 53 |
6. | 안토 드로브냑 | 56 | 50 |
7. | 프레데릭 네 | 54 | 45 |
8. | 루이 마르시알리스 | 48 | 39 |
9. | 장-피에르 세라 | 45 | 37 |
10. | 티에리 메이에르 | 40 | 17 |
SC 바스티아 소속으로 프랑스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순위 | 포지션 | 이름 | 총 출장 수 | 연도 |
---|---|---|---|---|
1. | MF | 클로드 파피 | 3 | 1973–1978 |
2. | FW | 자크 지마코 | 2 | 1977 |
3. | DF | 샤를 올란두치 | 1 | 1975 |
= | GK | 피에리크 이아르 | 1 | 1981 |
= | FW | 프레데릭 네 | 1 | 2001 |
7. 1. 선수 명단 (2024년 8월 1일 기준)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3 | DF | 후안 호세 게바라 | |
2 | MF | Christ Ravynel Inao Oulaï | |
4 | DF | 앤서니 론칼리아 | |
5 | MF | 줄리앙 마지오티 | |
6 | DF | 도미니크 기디 | |
7 | MF | 크리스토프 뱅상 | |
9 | FW | 펠릭스 토미 | |
10 | MF | 아민 부트라 | |
11 | FW | 라민 시세 | |
13 | MF | 톰 두크록 | |
14 | MF | Loïc Etoga | |
15 | MF | 플로리앙 보너트 | |
16 | GK | 앤서니 메소니알 | |
17 | DF | Zakaria Ariss | |
19 | MF | 마테오 루바티에르 | |
20 | MF | Mamadou Soumahoro | |
21 | FW | Mohamed Boumaaoui | |
22 | DF | 샤를 트라오레 | |
23 | GK | 줄리앙 파브리 | |
24 | DF | 톰 메이나디에르 | |
25 | FW | 클레망 호드리게스 | |
27 | FW | 리산드루 트라모니 | |
28 | DF | 구스타브 아쿠에손 | |
29 | DF | Steevy Mazikou | |
30 | GK | 조니 플라시드 | |
42 | DF | 딜런 타바레스 | |
66 | MF | 조슬린 잔네 |
7. 2. 유명 선수
SC 바스티아에서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포지션 | 선수 | 기간 | 비고 |
---|---|---|---|
GK | Józef Młynarczyk|유제프 무이날치크pl | 1984-1986 | |
GK | علي بومنيجل|알리 부므니젤ar | 1997-2003 | |
GK | 니콜라스 푸뇨 | 1998-2006 | |
GK | 미카엘 랑드로 | 2012-2014 | |
DF | Alberto Tarantini|알베르토 타란티니es | 1983-1984 | |
DF | 프랑크 줄리에티 | 1997-2000 | |
DF | 파스칼 심본다 | 2003-2005 | |
DF | Antar Yahia|안타르 야히아ar | 2001-2005 | |
DF | 세바스티앙 스킬라치 | 2013-2017 | |
DF | 플로리앙 마란제 | 2014-2017 | |
DF | Pierre Bengtsson|피에르 벵트손sv | 2016-2017 | |
MF | Johannes Rep|요니 렙nl | 1977-1979 | |
MF | Piotr Świerczewski|피오트르 시비엘체프스키pl | 1995-1998 | |
MF | Ľubomír Moravčík|류보미르 모라프치크sk | 1996-1998 | |
MF | Небојша Крупниковић|네보이샤 크루프니코비치sr | 1998-1999 | |
MF | Michael Essien|마이클 에시엔영어 | 2000-2003 | 올랭피크 리옹, 첼시 FC에서 활약[11] |
MF | 알루 디아라 | 2003-2004 | |
MF | Alexandre Song|알렉상드르 송cm | 2004-2005 | 아스널 FC, FC 바르셀로나에서 활약[12] |
MF | 크리스티앙 카랑뵈 | 2005 | 1998 FIFA 월드컵 우승팀 프랑스 대표팀 멤버 |
MF | 제롬 로텐 | 2011-2013 | |
MF | رياض بودبوز|리야드 부데부즈ar | 2013-2015 | |
MF | Милош Красић|밀로시 크라시치sr | 2013-2014 | |
MF | Nicolae Claudiu Stanciu|로마리치ro | 2013-2015 | |
MF | 가엘 다니크 | 2015-2017 | |
FW | Драган Џајић|드라간 자이치sr | 1975-1977 | |
FW | Roger Milla|로제 밀라cm | 1980-1984 | |
FW | Анто Дробњак|안토 드로브냐크sr | 1994-1997 | |
FW | Ermin Šiljak|에르민 실랴크sl | 1996-1998 | |
FW | 피에르-이브 앙드레 | 1997-2001, 2004-2010 | |
FW | 프레데리크 네 | 1998-2001, 2003-2006 | |
FW | شوقي بن سعادة|샤우키 벤 사다ar | 2001-2008 | |
FW | يوسف حجي|유세프 하지ar | 2003-2005 | |
FW | 지브릴 시세 | 2014-2015 |
프랑스 국가대표팀 출신 선수:
순위 | 포지션 | 이름 | 총 출장 수 | 연도 |
---|---|---|---|---|
1. | MF | 클로드 파피 | 3 | 1973–1978 |
2. | FW | 자크 지마코 | 2 | 1977 |
3. | DF | 샤를 올란두치 | 1 | 1975 |
= | GK | 피에리크 이아르 | 1 | 1981 |
= | FW | 프레데릭 네 | 1 | 2001 |
SC 바스티아 역대 최다 출장 선수:
순위 | 이름 | 총 출장 경기 | D1/L1에서의 총 출장 경기 |
---|---|---|---|
1. | 샤를 오를란두치 | 507 | 410 |
2. | 클로드 파피 | 479 | 382 |
3. | 폴 마르키오니 | 332 | 227 |
4. | 피에르-이브 앙드레 | 330 | 134 |
5. | 장-루이 카제스 | 329 | 276 |
6. | 야니크 카후자크 | 324 | 121 |
7. | 몰레 수마 | 276 | 211 |
8. | 조르주 프랑체스케티 | 276 | 236 |
9. | 시메이 이일리 | 255 | 219 |
10. | 앙드레 부르카르 | 250 | 217 |
SC 바스티아 역대 최다 득점 선수:
순위 | 선수 | 총 골 | D1/L1에서의 총 골 |
---|---|---|---|
1. | 클로드 파피 | 134 | 110 |
2. | 피에르-이브 앙드레 | 102 | 84 |
3. | 프랑수아 펠릭스 | 78 | 63 |
4. | 마크-카얀 카스 | 59 | 53 |
5. | 자크 지마코 | 57 | 53 |
6. | 안토 드로브냑 | 56 | 50 |
7. | 프레데릭 네 | 54 | 45 |
8. | 루이 마르시알리스 | 48 | 39 |
9. | 장-피에르 세라 | 45 | 37 |
10. | 티에리 메이에르 | 40 | 17 |
8.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Boumedienne Abderrahmane|부메디엔 압데르하마네프랑스어 | 1957년 ~ 1961년 |
François Pasone|프랑수아 파소네프랑스어 | 1961년 ~ 1963년 |
Júlia Nagy|줄라 너지hu | 1963년 ~ 1964년 |
André Strappe|앙드레 스트라프프랑스어 | 1964년 ~ 1965년 |
Júlia Nagy|줄라 너지hu | 1965년 ~ 1966년 |
Lucien Jasseron|뤼시앙 자세론프랑스어 | 1966년 ~ 1969년 |
Rachid Mekloufi|라시드 메클루피프랑스어 | 1969년 |
Edmond Delfour|에드몽 델푸르프랑스어 및 Rachid Mekloufi|라시드 메클루피프랑스어 | 1969년 ~ 1970년 |
Edmond Delfour|에드몽 델푸르프랑스어 | 1970년 |
Júlia Nagy|줄라 너지hu | 1970년 ~ 1971년 |
Jean Vincent|장 비생프랑스어 | 1971년 2월 28일 ~ 1971년 10월 31일 |
Pierre Cahuzac|피에르 카오작프랑스어 | 1971년 11월 1일 ~ 1979년 |
Jean-Pierre Destrumelle|장피에르 데스트뤼멜프랑스어 | 1979년 ~ 1980년 |
Antoine Redin|앙투안 레댕프랑스어 | 1980년 ~ 1985년 |
Alain Moizan|알랭 모이잔프랑스어 | 1985년 8월 31일 ~ 1985년 11월 30일 |
Antoine Redin|앙투안 레댕프랑스어 | 1985년 12월 1일 ~ 1986년 |
Roland Gransart|롤랑 그랑사르프랑스어 | 1986년 ~ 1991년 |
René Exbrayat|르네 엑스브라야프랑스어 | 1991년 ~ 1992년 |
Léonce Lavagne|레옹스 라바뉴프랑스어 | 1992년 ~ 1994년 |
{{lang | 1994년 10월 2일 ~ 1998년 |
{{lang | 1998년 ~ 1998년 10월 18일 |
{{lang | 1998년 10월 19일 ~ 1999년 4월 15일 |
{{lang | 1999년 4월 15일 ~ 1999년 6월 30일 |
{{lang | 1999년 7월 1일 ~ 2001년 6월 30일 |
{{lang | 2001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lang | 2002년 7월 1일 ~ 2004년 6월 30일 |
{{lang | 2004년 7월 1일 ~ 2005년 4월 15일 |
Éric Durand|에릭 뒤랑프랑스어 및 {{lang | 2005년 4월 15일 ~ 2005년 6월 30일 |
{{lang | 2005년 7월 1일 ~ 2009년 6월 30일 |
Philippe Anziani|필리프 안지아니프랑스어 | 2009년 7월 1일 ~ 2009년 11월 25일 |
{{lang | 2009년 11월 25일 ~ 2009년 12월 8일 |
{{lang | 2009년 12월 8일 ~ 2010년 6월 30일 |
{{lang | 2010년 7월 1일 ~ 2014년 5월 17일 |
{{lang | 2014년 5월 24일 ~ 2014년 11월 3일 |
{{lang | 2014년 11월 3일 ~ 2016년 1월 28일 |
{{lang | 2016년 1월 28일 ~ 2017년 2월 27일 |
{{lang | 2017년 2월 27일 ~ 2017년 6월 26일 |
{{lang | 2017년 6월 26일 ~ 2017년 8월 17일 |
Stéphane Rossi|스테판 로시프랑스어 | 2017년 8월 17일 ~ 2019년 10월 23일 |
Frédéric Née|프레데릭 네프랑스어 (임시) | 2019년 10월 24일 ~ 2019년 10월 28일 |
Mathieu Chabert|마티유 샤베르프랑스어 | 2019년 10월 28일 ~ 2021년 9월 22일 |
Cyril Jeunechamp|시릴 주느샹프랑스어 및 Frédéric Zago|프레데릭 자고프랑스어 (임시) | 2021년 9월 22일 ~ 2021년 10월 2일 |
{{lang | 2021년 10월 2일 ~ 2024년 1월 29일[62] |
Lilian Laslandes|릴리앙 라슬랑데스프랑스어 및 Michel Moretti|미셸 모레티프랑스어 | 2024년 1월 29일 ~ 2024년 6월 5일 |
Benoît Tavenot|브누아 타베노프랑스어 | 2024년 6월 5일 ~ 현재 |
참조
[1]
웹사이트
'#528 – SC Bastia : i Lioni di Furiani'
https://footnickname[...]
Footnickname
2021-05-26
[2]
웹사이트
Site en construction
http://www.sc-bastia[...]
[3]
웹사이트
Bastia 2–1 Châteauroux : la revue de presse
http://www.sc-bastia[...]
2012-04-23
[4]
웹사이트
ECMI Minorities Blog. National and Linguistic Minorities in the Context of Professional Football across Europe: Five Examples from Non-kin State Situations.
https://www.ecmi.de/[...]
[5]
서적
Dictionnaire historique des clubs de football français, Tome 1 : Abbeville – Montpellier
Éditions Pages de Foot
1999
[6]
웹사이트
Championnat de France D1 1976/1977 Classement & Résultats
https://www.les-spor[...]
[7]
문서
[8]
웹사이트
Huit saisons en D2
http://www.sc-bastia[...]
[9]
웹사이트
D1 1995–1996 buteurs
http://www.footballe[...]
[10]
웹사이트
Intertoto et UEFA 1997
http://www.sc-bastia[...]
[11]
뉴스
Essien turns down PSG
http://news.bbc.co.u[...]
BBC
2003-07-02
[12]
뉴스
Alex Song completes move to Barcelona from Arsenal
https://www.bbc.co.u[...]
BBC Sport
2012-08-20
[13]
웹사이트
Une page se tourne
http://www.sc-bastia[...]
2010-05-08
[14]
웹사이트
1 million € pour Bastia
http://www.lefigaro.[...]
2010-07-13
[15]
웹사이트
Bastia maintenu
http://www.lefigaro.[...]
2010-07-23
[16]
뉴스
Le point sur l'effectif
http://www.sc-bastia[...]
SC Bastia.net
2010-06-20
[17]
뉴스
Fréderic Hantz au Sporting !
http://www.sc-bastia[...]
SC Bastia.net
2010-05-21
[18]
뉴스
Bastia retrouve la Ligue 2
https://www.lequipe.[...]
L'Equipe
2011-04-22
[19]
뉴스
Bastia champion, Amiens toujours pas en Ligue 2
http://www.foot-nati[...]
Foot-National
2011-05-07
[20]
뉴스
Les cinq recrues présentées
http://www.sc-bastia[...]
scbastia.net
2011-08-09
[21]
웹사이트
L'Monaco en pleine ascension
http://www.lfp.fr/li[...]
2012-04-13
[22]
웹사이트
Le SC Bastia y'est presque!
http://www.lfp.fr/li[...]
2012-04-23
[23]
웹사이트
Le SC Bastia champion!
http://www.lfp.fr/li[...]
2012-05-01
[24]
웹사이트
The Champagne en fête!
http://www.lfp.fr/li[...]
2012-05-11
[25]
뉴스
Bastia rafle tous les prix !
http://www.sc-bastia[...]
SC Bastia.net
2012-05-14
[26]
웹사이트
Bastia (National 3) recrute trois joueurs sous contrat fédéral et un joueur avec le statut amateur
https://www.lequipe.[...]
[27]
웹사이트
Squawka | Football News, Stats, Quizzes & Predictions | EPL
http://www.squawka.c[...]
[28]
웹사이트
Le SC Bastia promu en National 2
https://www.ledauphi[...]
le dauphiné
2019-05-02
[29]
웹사이트
Football. Le SC Bastia promu en National
https://www.corsemat[...]
Corse matin
2020-04-16
[30]
웹사이트
Le SC Bastia et QRM (national) officiellement promus en Ligue 2
https://www.lequipe.[...]
L'Équipe
2021-04-29
[31]
웹사이트
Tout savoir sur la SCIC
https://sc-bastia.co[...]
[32]
웹사이트
Le Sporting se sépare de Mathieu Chabert
https://www.spiritu-[...]
2021-09-22
[33]
뉴스
Régis Brouard nommé à Bastia
https://www.actufoot[...]
2021-02-02
[34]
웹사이트
Régis Brouard n'est plus l'entraîneur du Sporting Club de Bastia
https://france3-regi[...]
2024-01-29
[35]
웹사이트
Foot : Frédéric Antonetti va devenir directeur technique de Bastia
https://www.lequipe.[...]
[36]
웹사이트
Benoît Tavenot nommé entraîneur de l'équipe première
https://sc-bastia.co[...]
2024-06-05
[37]
웹사이트
U Stade Armand Cesari
http://www.sc-bastia[...]
[38]
웹사이트
Les échos autour de Bastia-Saint-Etienne
http://www.sc-bastia[...]
2012-09-02
[39]
웹사이트
Le nouveau logo
http://www.sc-bastia[...]
2011-06-07
[40]
웹사이트
OGC Nice - Bastia 18.10.2014
https://www.ultras-t[...]
[41]
웹사이트
SC Bastia release statement following violent incidents at the Allianz Riviera last night | Get French Football News
https://www.getfootb[...]
2014-10-19
[42]
웹사이트
Ultras Bastia and Ajaccio united in Corsican demonstrations for Independence 03.12.2014
https://hooliganstv.[...]
2014-12-08
[43]
웹사이트
RIOTS: PSG - Bastia 11.04.2015
https://www.ultras-t[...]
[44]
뉴스
Corsican derby falls foul of bad weather
https://www.sportsmo[...]
Sports Mole
2015-11-22
[45]
뉴스
France round-up: Dream derby for Ajaccio
https://it.uefa.com/[...]
UEFA
2002-09-15
[46]
웹사이트
Le palmares
http://www.sc-bastia[...]
[47]
웹사이트
Effectif & Staff
https://sc-bastia.co[...]
scbastia.corsica
2024-02-10
[48]
웹사이트
Le stade
https://www.sc-basti[...]
2016-10-17
[49]
웹사이트
Histoire du club
https://sc-bastia.co[...]
SC Bastia
2024-07-25
[50]
웹사이트
バスティアがマケレレ監督の解任を発表…リーグ戦で2勝と低迷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4-11-04
[51]
웹사이트
Bastia (National 3) recrute trois joueurs sous contrat fédéral et un joueur avec le statut amateur
https://www.lequipe.[...]
2021-10-11
[52]
웹사이트
French side Bastia relegated twice in one season {{!}} Squawka Football
http://www.squawka.c[...]
2017-06-22
[53]
웹사이트
W杯ベルギー戦でゴールした代表“10番”、育ったクラブを救うために寄付
https://qoly.jp/2018[...]
Qoly
2018-08-28
[54]
웹사이트
ジャコバン共和国におけるアイデンティティをめぐる試論
https://opac.ll.chib[...]
2024-07-25
[55]
웹사이트
National and Linguistic Minorities in the Context of Professional Football across Europe: Five Examples from Non-kin State Situations
https://www.ecmi.de/[...]
ECMI
2022-12-21
[56]
웹사이트
RIOTS: PSG - Bastia 11.04.2015
https://www.ultras-t[...]
Ultras-Tifo
2015-04-11
[57]
웹사이트
伝説の50の試合 クープ ドゥ ラ リーグ初優勝
https://jp.psg.fr/te[...]
Paris Saint-Germain FC
2020-04-05
[58]
웹사이트
Understanding SC Bastia’s Badge
https://breakingthel[...]
Breaking The Lines
2021-10-09
[59]
문서
財政不正を含む財政問題により強制降格
[60]
문서
勝ち点1が剥奪
[61]
웹사이트
Effectif & Staff
https://sc-bastia.co[...]
scbastia.corsica
2024-07-25
[62]
웹사이트
Ligue 2 : Régis Brouard nouvel entraîneur de Bastia
https://www.lequipe.[...]
L'Équipe
2021-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